찬바람이 불어오면 제일 먼저 피부에 건조함이 더해집니다. 이맘때 찾는 것이 수분크림입니다. 수분크림 선택할 때 가장 좋은 제품은 싸고 품질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우수한 제품이 가격이 비싸다면 그것 또한 망설여집니다. 수분크림 선택 기준을 알아봅니다.
수분크림 선택 기준은 보습력, 끈적임 등의 사용감, PH 농도를 포함한 안전기준 적합성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시험, 검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수분크림의 선택기준으로 보습력, 사용감, 안전기준을 시험했습니다. 그 평가 기준과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성비를 결정해 주는 가격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수분크림에서 피부에 수분를 공급 유지하는 보습력은 핵심 기능입니다. 보습력에 대한 시험은 수분크림을 바르고 30분 후와 4시간 후에 제품 간의 차이를 시험하는 것입니다.
수분크림을 바른 후 시험대상의 모든 제품에서 피부의 수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정도에 차이를 보였습니다. 수분크림을 바른 신체부위는 전박으로 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안쪽 부분입니다.
보습력 시험평가 결과는 30분과 4시간 후에 모두 피부의 수분함량이 매우 우수한 제품은 더페이스 샾, 미샤, 비오템, 아이오페, 키엘 브랜드의 제품이었습니다.
!-- 디스플레이중간_반응,수직 -->
사용감은 소비자가 얼굴에 수분크림을 바르면서 또는 바른 후에 느껴지는 유분감, 끈적임, 잔여감 등을 말합니다. 사용감에 대한 평가는 시험 대상자들의 사용 후 의견을 모은 것인데요, 개개인의 취향과 기호에 따른 주관적인 평가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사용자들의 의견이니, 참고하면 좋을 것입니다. 점수는 각 항목당 1점~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정도가 더 강한 것입니다. 발림성은 피부에 고르게 발라지는 정도이고, 끈적임은 점수가 높으면 더 끈적인다는 의미입니다.
안전성에 대한 시험에서는 중금속 7종 포함여부, 보존제 15종 포함여부, pH 시험결과 모두 안전기준에 적함하였습니다. pH의 허용 기준은 3.0~9.0으로 그 허용범위가 넓습니다. 개개인의 피부 민감도에 따라 제품 선택 시 고려사항입니다.
수분크림의 시험대상 제품 10 mL 당 평균가격은 7천원대 였습니다. 그러나 제품별로 약 7배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기능성과 피부민감도를 고려한 ph농도, 그리고 가격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좋겠을 것입니다.
시험, 검사한 시간이 좀 경과된 내용이기는 하지만, 수분크림 선택시 도움이 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니 참고하셔서 좋은 선택 하세요!!